직업기초능력평가의 전 과정(평가도구 개발~결과보고)에 있어 평가의 내용 및 평가요소, 난이도 수준 등의 규격을 정한 틀입니다. 따라서 평가틀은 문항개발의 기준이 되며, 문항의 내용과 통계적 측면에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.
직업기초능력평가 평가틀은 2개의 주축(행동, 내용)과 보조축(직무상황)으로 설정하여 모든 평가 문항에 다양한 직무상황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였고(단, 직무적응 영역은 제외), 이후 2013년, 2015년, 2020년 개정 작업을 통해 NCS 직업기초능력 연계 및 미래사회 역량 반영 등의 과정을 거쳐 현행 평가틀이 완성되었습니다.
평가요소 | 직무 관련 문서를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 |
---|---|
평가시간 | 50분 |
문항수 | 50문항(멀티미디어 문항, 듣기문항 30% 내외 포함) |
평가틀 |
평가요소 | 직무 상황에서 영어 대화 혹은 직무 관련 영어 문서를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 |
---|---|
평가시간 | 50분 |
문항수 | 50문항(멀티미디어 문항, 듣기문항 30% 내외 포함) |
평가틀 |
평가요소 | 수리적 이치나 절차를 활용하여 업무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 |
---|---|
평가시간 | 50분 |
문항수 | 50문항(멀티미디어 문항 포함) |
평가틀 |
평가요소 |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 | 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평가시간 | 50분 | ||||||||||||||||||||||
문항수 | 32문항 | ||||||||||||||||||||||
평가틀 구조 | 차원 | 정의 | |||||||||||||||||||||
빅아이디어 | 직업세계에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핵심 아이디어 |
||||||||||||||||||||||
문제해결 과정 |
직업세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고 평가하는 과정 | ||||||||||||||||||||||
차원의요소와 정의 |
|
평가요소 | 직장 내 적응과 업무 수행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비인지적 특성(성격, 동기,태도 등)을 진단 | |
---|---|---|
평가시간 | 40분 | |
문항수 | 160문항 (응시자의 일상 및 학교생활에 대한 경험, 태도 등을 묻는 문항들로 구성) (예시문항) 1. 나는 시험공부를 할 때 계획 없이 하는 편이다.
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은 편이다 ③ 보통이다 ④ 그런 편이다 ⑤ 매우 그렇다 |
|
평가틀 | 업무능력 | 문제처리, 전문성추구 |
업무동기 | 과업몰입, 과업완수 | |
관계적응 | 대인관계, 협동지향 | |
정서적응 | 감정이해, 자기조절 | |
조직적응 | 조직이해, 조직몰입 | |
변화적응 | 변화수용, 변화추구 | |
유의사항 |
|
직업기초능력평가 문항에는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직업역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현실감 있는 직무상황이 반영되어 있습니다. 이러한 직무상황은 동영상 및 음성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통해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제시됩니다.
멀티미디어 문항 유형 중 직접입력형 문항 보기샘플 이미지입니다.
직업기초능력평가 각 영역별 문항 출제진은 '특성화고·마이스터고 교사'로 구성하고 평가문항 개발 연수를 거쳐 최종 선발합니다. 출제진에 의해 출제된 문항은 문항전문가 및 검토진들의 검토를 거쳐 최종 완료됩니다. 또한 이미 개발된 문항이라도 평가에 활용되는 문항은 다시 한 번 검토를 수행하여 문항의 오류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합니다. 문항을 개발하는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.